-
이달의 책
여자, 진짜로 라이벌이 필요해
<권김현영, 여자들의 사회(휴머니스트)> 배소영(시민참여자) 대중문화가 대중의 욕망을 반영함과 동시에 수용자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. 제작자들은 누구보다 빨리 대중들이 바라는 것을 포착하고 작품에 접목하려 한다. 특히 눈에 띄는…
자세히보기 » -
인문 포럼
내가 만난 역사, 내게 남은 기억
들어가며 솔직히 말해야겠다. 갈수록 기억력이 떨어진다. 명사가 생각나지 않은지는 오래되었다. 그때마다 스마트폰 검색 서비스의 도움을 받는다. 배우 유해진의 이름을 떠올리기 위해 그가 출연한 영화의 이름을 가까스로 떠올린 다음, 영화의…
자세히보기 » -
이달의 책
당신의 곁에도 압둘와합이 있나요?
<김혜진, 내 친구 압둘와합을 소개합니다(원더박스)> 손영님(시민참여자) 2021년 8월 탈레반의 공격으로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이 함락되었다. 아프가니스탄 내의 한국 협력자들은 신변 위협에 노출되었고, 주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은 아프간 조력자들과 그 가족들을 지키기 위해…
자세히보기 » -
정기 기획 프로그램(인문 주간)
제16회 인문주간 <광주시민 '시 백선' 낭송회> 공모기간 연장 안내
안녕하세요. 전남대학교 지역인문학센터 “노둣돌”입니다. <광주시민 ‘시 백선’ 낭송회>의 공모기간이 연장되었습니다!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! ▶ 시 백선 낭송회 <시심(詩心)에 담긴 나의 삶, 우리의 노래> 참가방법 ① 아래의 ‘참여하기’ 단추를…
자세히보기 » -
정기 기획 프로그램(인문 주간)
제16회 인문주간 공모전
안녕하세요. 전남대학교 지역인문학센터 “노둣돌”입니다. 제16회 인문주간 “다성(多聲)의 인문학-‘맞이들임’의 인문생태”를 맞이하여 저희 “노둣돌”에서 준비한 행사를 안내해드립니다. ▶ 책으로 사람과 사람을 잇-다 <내 인생의 책, 나와 당신을 ‘맞아들이는’ 한 구절>…
자세히보기 » -
이달의 책
귀신이 될 수밖에 없었던 그(녀)들
<전혜진, 여성, 귀신이 되다(현암사)> 김유경(시민참여자) 어릴 때 콩쥐와 팥쥐, 장화와 홍련 같은 옛날이야기를 읽으면서도 나쁜 짓을 하면 언젠가 벌을 받는다는 교훈만을 생각했지, 거기에서 여성의 삶을 읽을 수 있다고는…
자세히보기 » -
이달의 책
정신 질환을 앓는 가족과 함께 공존하기
<리베카 울리스, 사랑하는 사람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을 때(서울의학서적)> 김예슬(시민참여자) 얼마 전 SBS <그것이 알고 싶다>에서 남양주 존속 살인 사건에 대해 다룬 바 있다. 이 사건은 조현병을 앓고 있는 아들에 의한…
자세히보기 » -
시민의 글숲
타인에 대한 기대감과 당연함의 사이에 대하여
사람은 나 자신과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기대를 하고 이를 은연히 드러낸다. 자신 스스로 미래에 대해 기대를 하며 살아가는 것은 동기부여의 원천이 되고 내일을 살아가기 위한 활력이 된다. 그러나 그 기대감이…
자세히보기 » -
이달의 책
가족으로 보는 역사
<이순구,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(너머북스)> 오수연(시민참여자) 이미 사라진 나라이건만, 조선은 우리에게 참 멀고도 가깝다. 전국을 여덟 개 도로 나눈 태종의 행정 구역 분류는 오늘날에도 각 지방의 문화적 특색이나 정서적인 소속감을…
자세히보기 » -
이달의 책
원룸을 전전하는 게 이상하지 않은 젊은이들
<이혜미, 착취도시, 서울(글항아리)> 주유현(시민참여자) 내가 처음 자취를 시작한 곳은 약 5평의 건물,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35만원의 방이었다. 부모님의 품에서 빠져나와 혼자 살게 된다는 설렘에 두근거렸던 것도 잠시 학교와 가깝다는 점을…
자세히보기 »